본문 바로가기
  • 매주 다양한 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는,
    여기는 감질클럽입니다.
방송이 끝난 뒤

[아이란의 뒷담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_코맥매카시

by 감자껍질파이 북클럽 2016. 2. 17.

 


 

안녕하세요. 아이란 입니다. <책이랑톡톡>시즌2, 제8회 방송인「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의 책 선정 및 발제, 구성을 맡았는데요. 이 글에 방송 때 못다한 이야기, 책 선정이유와 함께 저는 어떤 시각으로 이 작품을 느꼈는지 담아보았습니다. 어릴 적 충청도 공주의 한 작은 마을의 밤하늘을 보고 '별이 정말 아름답다.'라고 느낀 적이 있어요. 하늘에서 후두둑 떨어지는 거 같은게- 정말 예쁘다고 생각했죠. 그때 동시에 깨달은 것이 '아, 나 별이 아름답다는 거 알고 있었는데- 내가 안다고 생각했던 게 정말 내가 알고 있는 것이 아니었구나.' 였습니다. 그 경험으로부터 시작해서 끊임없이 어떠한 현안에 대해 의문을 갖는 버릇이 생긴 것 같아요. 이 작은 버릇이「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를 특별하게 느끼게 했고요. ^-^ 부족한 글솜씨지만 진심을 담아 써 보았습니다. 이 작품을 읽으신 청취자분들에게는 이 작품이 어떤 의미로 남는지 궁금하네요!

 


 

 

<우리는 모두 죽는 것을 알기에 삶은 농담이 된다>

_코맥매카시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를 읽고.

‘당신이 언젠가 죽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예상하건대, 이 질문에 모든 사람이 서슴지 않고 ‘예’라고 답했을 것이다. 이번에는 조금 다른 질문을 하겠다. ‘하늘의 별은 아름다운가?’ 이전보다 조금 머뭇거렸을 수도 있지만 당신은 여전히 ‘예’라고 대답했을 확률이 높다. 그렇다면 또다시 묻겠다. ‘별이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소수일 거라 예상하지만 혹자는 이 질문에 비교적 망설임 없이 답했을 것이다. 오랜 생각 끝에 어렵게 대답을 한 사람도 분명 있을 거다. 어떤 이는 대답 할 수 있는 말이 없어 묵비권을 행사했을 수도 있다. 왜 그럴까? 별이 아름답다는 것을 긍정했으면서 이후 질문에 쉽게 대답하지 못하는 일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학습과 경험의 간극에서 발생한다. 유년시절, 우리는 유치원에서 「작은 별」이라는 동요를 배웠다. 굳이 유치원을 다니지 않았어도 이 노래를 모르는 이는 없다. ‘반짝반짝 작은 별, 아름답게 비추네.’로 시작하는 이 곡은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별은 아름다운 것’이라고 사고하게 한다. 또한 귀걸이, 목걸이 등 장신구의 단골 오브제로써 별은 '별=미(美)'로 학습된 생각을 한층 심화 시킨다. 이런 여타의 과정을 통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별이 아름답다는 것을 사실로 여기게 된다. 그러나 한 번 생각해보자. 당신은 진정 별이 아름답다고 느껴본 적이 있는가? 그것이 정말 당신이 느낀 사실인가? 아니, 그 전에 별을 제대로 본 적이 있기는 한가?

맨 처음 질문으로 돌아가자. 나는 당신이 언젠가 죽을 것을 아느냐고 물었다. 이번에도 당신은 자신 있게 ‘예’라고 대답할 수 있을까? 정말 자신이 죽는다는 것을 자각하고 있나? 나는 지금 당신에게 ‘학습’된 죽음이 아닌 몸으로 느끼는 ‘죽음’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무의식적으로 학습된 생각과 감정이 현재의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을 깨닫는 순간, 아마 당신은 이전과는 다른 대답을 내놓을 것이다. 혹여 대답이 달라지지 않았다 해도, 적어도 시간을 투자해 질문에 대해 심도 있게 생각해 봤을 것이다.

우리가 죽음을 인식하는 방식은 마치 계산기와 같다. 죽음을 안다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뇌에 입력된 값일 뿐이다. 우리가 감히 알고 있다고 말하는 죽음은 단지 영화와 책, 가족과 지인의 죽음 등 간접경험을 통해 입력된 값의 답인 거다. 1+1=2는 진리지만 다음 계산을 위해 숫자 '2'는 계산기 화면에서 삭제되듯 삶은 현재진행형 이기에 인간은 죽음이라는 만고불변의 진리를 망각한다.

죽음을 잊은 자들은 고삐 풀린 말이다. 마치 죽지 않을 것처럼 날뛰며 재물을 탐하고, 권력을 휘두른다. 영생을 누릴 것이기에 약자를 착취해서라도 많은 돈을 손에 쥐어야하고, 권력으로 모두를 내 발아래 묶어놔야 한다. 혹여 ‘나는 죽음을 자각하고 있다.’라고 말하는 뻔뻔스러운 권력자가 있다면 나는 한 번 더 묻겠다. “지금 당신이 남들을 짓밟으며 얻은 영광은 피라미드라도 세워 천국에 가져갈 계획 인건가?”

신과 같은 절대자가 정말 존재한다면 그 절대자에게 이들의 탐욕스러움이 얼마나 우스울까. 죽지 않을 것처럼 관능의 음악에 사로잡힌 인간들의 행동이 저승사자와 같은 죽음의 매개자에게 얼마나 가소로울까. 이와 반대로 신의 구원을 방패막 삼아 자신의 삶을 방치하는 자들을 신은 얼마나 애처로이 바라보고 있을까. 그러나 연민과 경멸의 감정과 별개로 전지전능한 신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희로애락이 담긴 인간의 삶은 신에게 그저 한편의 연극과 다름 없는 것이다. 관객인 신은 삶이라는 극을 통찰하고 있지만 아무것도 통제하지 못한다. 그저 그 연극에 웃고 슬퍼하며 관조할 뿐이다. 삶이라는 연극 무대에 주인공은 당신이지 신이 아니기 때문이다.

역설적이게도 죽음은 삶을 관통한다. 그렇기에 나는 ‘죽음’ 좇는다. 사람들은 보통 죽음을 부정으로 인식하기에 이런 나에게 뜨악한 눈초리를 보내기도 한다. 아니, 경멸의 눈길일지도 모르겠다. 상관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 죽음의 긍정을 찬양한다. 죽음에 대한 깊이 있는 사유가 있어야 올바른 삶의 방향을 세울 수 있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단, 이때의 죽음은 자살이 아니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는 한 사람의 순간의 선택과 탐욕으로 시작된 목숨을 건 추격전을 그린다. 독자는 스릴 넘치는 추격전을 통해 그가 죽음을 받아드리는 과정을 한 ‘노인’의 시선으로 바라본다. ‘노인’은 곧 우리가 신이라 부르는 ‘절대자’다. 독자는 ‘절대자’의 눈을 빌려 우리 삶이 얼마나 작고 연약하며 우스운지 관망할 수 있는 것이다. 나는 당신이 이 책의 마지막 장을 넘길 때 즈음 ‘인생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나름의 답을 찾는 행운이 찾길 바란다.

 

 

*위 방송은 http://www.podbbang.com/ch/10822?e=21894292 에서 들으실 수 있습니다.

댓글